반응형

브이레이 Render Settings에서 볼 수 있는 GI(Global Illumination) 전역 조명에 대한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

목차
1] GI, 전역조명이란
2] GI 세팅 방법
3] Secondary Bounces에 Brute Force 넣는 경우, 오류 해결 방법

 

GI, 전역조명이란

GI(Global Illumination) 전역 조명은 반사광을 허용하여 간접 조명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GI = 반사광 표현 (DIffuse + Reflection)으로, 렌더링에 있어 실제로는 gi가 가장 먼저 표현된다 할 수 있습니다.

GI를 꺼도 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 HDRI를 적용한 돔라이트가 있는 '야외'세팅일 때 (전략적 선택) ]

왜일까요? 야외에는 빛이 많기 때문에 반사광 표현이 미미하게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3점 조명인 상태일 때 주로 사용합니다.

가장 중요한 점은, 직업 조명이 없으면 GI를 켰을 때 렌더가 안되기 때문에 메인 조명을 설치해줘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처럼 v-ray RectLight로 쉽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해당 포스팅은 아래에 링크를 첨부해 두겠습니다. 전체적인 세팅은 Primary Bounce에서 조절하며, Multiplier 사용 시 배로 들어가는 점 참고하며 세팅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V-Ray] Maya v-ray 렌더러 사용법(1) - VRay LightRect, Dome Light

Maya의 플러그인 프로그램인 브이레이를 이용한 조명 설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Vray Light Rect 2] Dome Light 3] PTGui프로그램 Vray Light Rect 플러그인 프로그램인 브이레이의 VRayLightRect

ddd-eat-ran.tistory.com

 

GI 세팅 방법

보편적인 세팅 방법으로, Brute Force는 세부적인 세팅을 알아서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카메라에 닿는 모든 빛을 확인하기 때문에 '무차별 병사/군대'라는 별명이 생기기도 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Primary Bounce Engine에 넣으면 GI를 다 처리해서 카메라나 캐릭터가 바삐 움직이는 상황에 효과적이며, 정적일 때도 우수한 결과물을 추출해 내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잘 사용하는 이유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Subdivs 등 세부 세팅을 켜려면 DMC Sampler에서 Use Local Subdivs를 켜고, 조명 Attribute Editor에서 Sampling의 Subdivs 수치를 높여야합니다. 최대 샘플링 개수가 Brute Force GI Subdivs에도 영향이 가기 때문에, 최소 샘플링 개수보다는 Max Subdivs(최대 샘플링 개수)를 높게 설정해야 합니다.

 

Secondary Bounces에 Brute Force 넣는 경우, 오류 해결 방법

야외에서는 반사광이 다채롭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Dome Light를 사용할 때는 GI를 꺼도 빛의 양이 충분하여 대부분 GI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 외에 사용하는 이유로는 반사광이 필요하거나 HDRI보다 정보가 적은 경우, 혹은 정확한 반사광을 적용시키기 위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Secondary Bounce를 Light Cache Engine으로 했을 때,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gi의 색이기도 한 그림자 부분에 대한 밝기가 밝아졌다/어두워졌다를 반복하는 이슈가 발생하는 경우, 세컨더리 바운스를 Brute Force로 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해당 오류가 발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Light Cache는 일단 연산하면 그 다음 번에는 연산을 하지 않기 때문에 계산된 부분은 넘어가게 됩니다. 계산이 잘 됐든 아니든 간에 넘어갔기 때문에 오류가 생기는 것입니다. 반면에 Brute Force는 연산을 많이 해서 해당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타임랩스를 할 때(조명이 빨리 움직일 때) Secondary Bounce를 Brute Force로 사용합니다.

 


위 내용을 바탕으로 반사광 표현을 하여 효과적인 v-ray 렌더링을 진행해보시기 바랍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Irradiance Map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