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Maya/Basic & Rendering50

[Maya] Render Elements 2편 – Raw, Z-depth, AO 등 추가 렌더 패스 설정 가이드

📎이전 글: [Maya] Render Elements 1편 – VRay 렌더 패스 설정과 EXR 멀티채널 출력 방법 [Maya] Render Elements – VRay 렌더 패스 설정과 EXR 멀티 채널 출력 방법오늘은 Maya에서 V-Ray를 활용해 Render Elements(렌더 패스)를 설정하는 방법과, 이를 기반으로 Nuke와 같은 합성 툴에서 후반 작업을 준비하는 과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목차 1] Render Elements란?2] 기본ddd-eat-ran.tistory.comRender Elements에서 기본적인 패스를 분리해서 렌더링 하는 것 외에도, 조금 더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고급 패스들이 존재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사 합성이나 후반 작업 시 꼭 알아두면 좋은 Raw .. Maya/Basic & Rendering 2025. 6. 12.

[Maya] 시퀀스 렌더링 중 오류 해결 – Specific Frames, Primary Visibility, Render Setup 사용법

시퀀스 렌더링을 하다 보면 특정 프레임이 빠지거나 깨져서 출력되거나, 오브젝트별로 따로따로 분할 렌더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이럴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Specific Frames 기능, Render Stats 설정, Render Setup 시스템까지 함께 정리해 보겠습니다.📎이전 글: [Maya] 시퀀스 렌더링 – 카메라 애니메이션과 V-Ray 시퀀스 출력 설정 [Maya] 시퀀스 렌더링 – 카메라 애니메이션과 V-Ray 시퀀스 출력 설정씬에 카메라 애니메이션을 주고 이를 프레임별 이미지 시퀀스로 렌더링 하면, 후반 합성이나 편집툴에서 영상처럼 불러올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V-Ray 기준 시퀀스 렌더링 설정법, 카ddd-eat-ran.tistory.com목차 1] 특정 프레임만 다시.. Maya/Basic & Rendering 2025. 6. 12.

[Maya] 시퀀스 렌더링 – 카메라 애니메이션과 V-Ray 시퀀스 출력 설정

씬에 카메라 애니메이션을 주고 이를 프레임별 이미지 시퀀스로 렌더링 하면, 후반 합성이나 편집툴에서 영상처럼 불러올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V-Ray 기준 시퀀스 렌더링 설정법, 카메라 무빙 적용, 그리고 렌즈 이펙트 설정까지 함께 정리해 보겠습니다.목차 1] 카메라 애니메이션 설정2] V-Ray 시퀀스 렌더링 기본 세팅3] 렌즈 이펙트 설정 팁4] 출력 파일 이름 구조 1] 카메라 애니메이션 설정카메라 생성 (Camera1)뷰포트에서 [, ] 키로 프레임 이동시작 프레임: 위치 잡고 S 키 → 키프레임 생성종료 프레임: 다른 위치로 카메라 이동 → S 키→ 예: 총 48 프레임(2초 기준)프레임 범위 확인 (하단 타임라인)칸 위치설명1전체 시퀀스의 최소 프레임2뷰포트에서 현재 볼 수 있는 시작.. Maya/Basic & Rendering 2025. 6. 12.

[Maya] Render Elements 1편 – VRay 렌더 패스 설정과 EXR 멀티채널 출력 방법

오늘은 Maya에서 V-Ray를 활용해 Render Elements(렌더 패스)를 설정하는 방법과, 이를 기반으로 Nuke와 같은 합성 툴에서 후반 작업을 준비하는 과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목차 1] Render Elements란?2] 기본 렌더 패스 구성3] EXR로 멀티채널 저장하기4] 렌더 설정 체크리스트 1] Render Elements란?기본적으로 렌더링을 하면 뷰티 이미지(RGBA)만 출력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조명, 반사, 그림자, 간접광 등 각 요소를 분리해서 출력하는 것이 후반 합성에 훨씬 유리합니다.Render Elements를 설정하면 각 조명/질감 요소들을 따로 저장할 수 있어, 합성 단계에서 밝기/색/강도/효과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작업은 보통 Nuke에서 진행되지.. Maya/Basic & Rendering 2025. 6. 12.

[V-Ray] Create Proxy 기능으로 하이폴 메쉬 뷰포트 최적화하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V-Ray의 Create Proxy 기능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하이폴리곤 메쉬를 다루다 보면 뷰포트가 무거워지고 작업 효율이 떨어지기 쉬운데, 이럴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하이폴 메쉬를 가볍게 다루면서도 렌더링 시에는 원래 디테일을 유지할 수 있어 실무 및 개인 작업 시에 매우 효과적입니다.목차1] 하이폴 메쉬를 프록시로 전환하는 이유2] Create Proxy 설정 및 저장 방식3] Preview 설정 옵션 설명4] 프록시 재불러오기 및 재질 연결5] 프록시 소스 예시 1] 하이폴 메쉬를 프록시로 전환하는 이유뷰포트에서 너무 무거운 하이폴 메쉬를 경량화렌더링 퀄리티는 유지하면서 작업 중엔 프록시만 보여주기대규모 배치(숲, 도시, 인테리어 소품 등) 시에.. Maya/Basic & Rendering 2025. 6. 12.

[Maya] Displacement Map 적용하는 법 – VRay 기반 설정 가이드

Displacement Map은 로우 폴리곤 메시에 하이폴리 디테일을 전달해 실루엣까지 바꾸는 고해상도 표현을 가능하게 합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Maya에서 V-Ray를 사용할 때 Displacement Map을 올바르게 적용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정리해 보겠습니다.📎관련 글: [Maya] Displacement Map과 Normal Map 차이 이해하기 [Maya] Displacement Map과 Normal Map 차이 이해하기3D 텍스처링에서 자주 사용하는 Displacement Map과 Normal Map은 모두 고해상도 디테일을 로우 폴리곤 메시 위에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하지만 기능과 표현 방식, 렌더 시간과 결과물에서 차이가 있ddd-eat-ran.tistory.com목차 1] Norma.. Maya/Basic & Rendering 2025. 6. 11.

[Maya] Displacement Map과 Normal Map 차이 이해하기

3D 텍스처링에서 자주 사용하는 Displacement Map과 Normal Map은 모두 고해상도 디테일을 로우 폴리곤 메시 위에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하지만 기능과 표현 방식, 렌더 시간과 결과물에서 차이가 있으니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해야 합니다.목차1] Displacement Map이란?2] Normal Map이란?3] Displacement Map vs Normal Map 비교4] 번외: Bump Map은? 1] Displacement Map이란?Displacement Map(디스플레이스먼트 맵)은 로우 폴리곤 메시를 기반으로 실제 표면의 형상을 변형(실루엣 포함)시켜 하이폴리 디테일을 표현합니다.비트 깊이에 따른 구분16bit튀어나오거나 들어가는 것 중 한 방향만 표현 가능 → 현재는 .. Maya/Basic & Rendering 2025. 6. 11.

[Maya] 마야 하이퍼쉐이드 기본 머테리얼 설정 가이드

본 포스팅에서는 마야(Maya)에서 하이퍼쉐이드를 이용해 기본 머테리얼을 설정하는 방법과, 노드 연결 시 주의할 점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목차1] 하이퍼쉐이드 개요2] 노드 연결 및 삭제 방법3] 1 채널(Value) 변환과 Color Space 설정4] 루미넌스(Luminance) 활용 예시 1] 하이퍼쉐이드 개요하이퍼쉐이드는 마야에서 머테리얼(재질)을 시각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창입니다. 상단 렌더링 탭의 하늘색 동그라미 아이콘을 클릭하면 실행되며, 다양한 셰이더와 텍스처 노드를 조합해 원하는 재질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상단에는 Input/Output 연결을 동시에 볼 수 있는 아이콘(화살표 두 개 겹쳐진 모양)이 있으며, 이를 클릭하면 노드 간 흐름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노드 .. Maya/Basic & Rendering 2025. 6. 2.

[Maya] OBJ 파일 내보내기 시 저장되는 정보와 주의 사항 정리

오늘은 OBJ 파일로 모델을 내보낼 때 저장되는 정보의 범위와 함께, 관련된 색공간 설정과 V-Ray 재질 적용 시 주의할 점까지 함께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목차1] OBJ 파일의 저장 범위2] Export 시 주의사항3] V-Ray 재질과 색공간 설정4] 정리 1] OBJ 파일의 저장 범위OBJ 포맷은 범용성이 높아 3D 툴 간 파일 교환에 자주 사용됩니다. 내보낼 때는 모델의 위치, 크기, 회전값(기울기), UV 좌표까지 저장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머티리얼 정보(material)는 직접적으로 포함되지는 않으며,. mtl 파일로 별도 저장됩니다.Substance Painter처럼 텍스처 페인팅 툴에서 활용할 계획이라면, .obj +. mtl 조합으로 내보내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mtl은 프로그.. Maya/Basic & Rendering 2025. 6. 2.

[Maya] 마야에서 낮&밤 설정 2편 – 밤 씬 구성하기 (Ramp 배경 + Mesh Light + VFB Bloom)

이번 글에서는 Maya에서 V-Ray를 활용해 밤 장면을 만드는 방법을 소개해보겠습니다. 실제 밤처럼 어두운 하늘, 은은한 무드 조명, 반사되는 바닥 등을 표현하려면 HDRI 없이도 충분히 연출할 수 있습니다.지난 포스팅을 참고하면 비교 및 이해에 더 도움이 됩니다.📎[Maya] 마야에서 낮&밤 설정 1편 – 낮 씬 구성하기 (GI + Dome + Portal Light) [Maya] 마야에서 낮&밤 설정 1편 – 낮 씬 구성하기 (GI + Dome + Portal Light)이번 포스팅에서는 Maya에서 V-Ray 기준으로 실내 낮 장면을 자연스럽게 연출하는 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GI, Dome Light, Portal Light, HDRI 활용법 등을 통해 창문을 통과하는 자연광 느낌을 만들어.. Maya/Basic & Rendering 2025. 6.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