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은 마야에서 V-Ray를 통해 Mapping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V-Ray 맵핑 적용 방법
2] 텍스처 확인 방법 및 이미지 비율
3] Mapping 권장 해상도

 

V-Ray 맵핑 적용 방법

vray를 통해 맵핑을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메쉬 우클릭
  2. vray mtl 적용 후 디퓨즈 컬러에 맵핑
  3. Diffuse Color를 통해서 이미지를 삽입(file)
  4. 생성된 Input 버튼을 눌러 Image Name에 파일 삽입

뷰포트에 있는 Texture 버튼을 클릭하면 적용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6번 숫자 버튼을 클릭하여도 동일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텍스처 확인 방법 및 이미지 비율

유브이에서도 디스플레이 이미지 버튼을 누르면 텍스처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때, 삽입할 사진은 처음부터 비율을 맞게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이미지 비율은 1:1 정사각형 모드로, 크기는 2의 승수 안에서만 사이즈를 지정할 것을 추천드립니다. 해당 사이즈가 아니어도 맵핑이 가능하긴 하지만, 강제로 모양을 조절하다가 이상해지거나 찌그러드는 이슈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Mapping 권장 해상도

뷰포트 화면 위에 있는 Resolution Gate를 클릭하면 렌더했을 때의 카메라 사이즈로 화면이 잘려서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전에 Render Settings - Resolution에서 화면 비율을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지정해 둔 해당 화면 사이즈를 리미트로 정하고, 그 화면 내에서 최소한으로 필요한 텍스처 해상도의 1.5~2배 정도 크기로 텍스처 이미지를 제작할 것을 권장드립니다. 예시로 1920*1080 화면에 캐릭터 얼굴의 볼 부분이 차지하는 비율이 10프로 이상이라 최소 200픽셀이 필요하다면, 그 두 배 값인 400픽셀 즉 4k 해상도의 텍스처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텍스처의 크기(비율은 반드시 1:1로 고정)

256x256
512x512
1024x1024 → 1k
2048x2048 → 2k
4096x4096 → 4k
8192x8192 → 8k
16384x16384 → 16k
32768x32768 → 32k

이와 같이 3D 모델링 후 UV 작업을 통해 원하는 해상도와 퀄리티의 텍스처를 적용해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