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은 Irradiance map의 꿀팁 및 유의사항에 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발행 글을 보고 오시면 이해하는 데에 있어 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목차
1] Irradiance map의 특징 및 주의 사항
2] 렌더 세팅 모드
3] Threshold 설정
4] 정리

 

Irradiance map의 특징 및 주의 사항

Irradiance map을 쓰면 아웃풋이 깔끔하고 이쁘게 나오기 때문에, 적절히 사용하면 효과적인 결과물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고정되어 있는 사물에서 카메라만 움직이는 경우에 특히 사용하기 적절합니다. Brute Force로 렌더를 걸다가 중간에 Irradiance map으로 변경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추후에 못 합칠 수도 있기 때문에 위험 부담이 커서 권장드리지 않습니다. 혹시라도 변경을 할 경우에는 샷 단위로 하실 것을 권장드립니다.

 

렌더 세팅 모드

Scene은 여러 개의 Shot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Shot은 하나의 카메라에서 렌더 된 영상물이며, 부수적인 요소들만 보여주는 기능입니다. 렌더 세팅에서 부가적인 옵션들이 있는 Overrides에서 다음과 같이 설정을 하면 준수한 수준의 렌더링 결과물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Rendering-Don't Render Final Image 체크, Max Subdivs 낮추기, Min Shading Rate 올리기, Min Subdivs는 유지

Image Sampler에서 Bucket모드를 사용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Threshold 설정

Threshold(임계치)를 낮추는 경우, 퀄리티는 낮아지지만 노이즈가 적어진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하면 Irradiance map만 추출되고 렌더가 되지 않기 때문에, 렌더 할 때는 반드시 꺼야 한다는 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맵 만드는 것의 퀄리티는 GI에 있는 Irradiance map에서 조정할 수 있습니다.

  • Min Rate 최소 시간
  • Max Rate 최대 시간

위 두 가지를 적절히 조절하면 퀄리티를 높일 수 있습니다.

Subdivs란, 샘플을 이용해서 Irradiance map을 만드는 것인데 수치가 올라간다고 해서 퀄리티가 급격하게 나아지는 것은 아닙니다. 시간을 오래 써야 디테일해지는데, 렌더 시간이 오래 걸리면서 샘플이 적으면 효과를 낼 수 없기 때문에 부수적인 요소로써만 값을 올리는 것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정리

  1. 실제 렌더를 할 때는 고화질 추출을 위해 very high로 설정하고, Presets 테스트할 때는 시간 절약을 위해 high나 medium으로 설정
  2. 렌더할 때 저장 후 Mode from File로 설정
  3. Use Camera Path 활성화 (프레임에 애니메이션을 준 부분의 처음부터 끝까지 렌더가 되기 때문)
  4. Mode Multiframe Incremental로 설정 (해당 모드는 Use Camera Path를 켜야만 활성화되기 때문에 카메라가 전진/후퇴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좋음. 싱글 프레임도 사용은 가능함)

 


Irradiance map 사용에 있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Maya V-Ray에 대한 정보는 다음 포스팅에서도 계속 이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