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Maya V-Ray의 세팅 관련 팁과 용어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지난 마야 Vray 렌더러 사용법 1-5편을 보고 오시면 빠른 이해에 도움이 됩니다.

목차
1] Vray에서 사용하는 세팅 용어
2] Environment

 

Vray에서 사용하는 세팅 용어
  • Multiplier - 그림자를 진하게 하고 싶을 때 줄여줄 수 있습니다.
  • Brute Force GI - 매 프레임마다 하나하나 적용하기 때문에 계산이 정확해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 Depth - 연산 횟수
  • Secondary Engine - 다음에 추가 연산하는 횟수 (Bounce 최대 n번까지 튕기겠다는 의미) Light Cache Engine
  • Reflection - 허공을 비추는 부분 / 반사가 맺히는 부분
  • Refraction - 굴절

 

Environment

Environment를 조절하면 Ambient Light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Overrides Environment를 활성화하면 Background Texture 배경색이 바뀝니다. 여기서 핵심은 GI Texture로, 이것을 통해 Ambient 효과를 볼 수 있으나 반드시 GI가 켜져 있어야 작동합니다. 이렇게 설정을 해두면 별도의 Ambient Light를 따로 켜지 않아도 Dome Light에 이미지 파일을 넣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어 간접 조명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Texture에는 이미지를 넣을 수 있으며, HDRI도 가능합니다. 추천 사이트로는 hdrihaven이 있으며 해당 사이트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한 후 다운받기 하단에 .exr 혹은 .hdr파일을 체크하여 내려받으시기 바랍니다. 이미지 노출 정보가 있으려면 2비트 이상이어야 해서, exr/hdr 파일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노출 정보가 없는 경우엔 Irradiance map에 해당합니다.

다른 방법으로 동일한 효과를 주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Environment을 끄고 Dome Light를 켜되, 이 때 Dome Light 설정에서 Dome Texture 넣기 클릭
2) hdr 넣으면 직접 조명이 두 개가 됨(이미 만들어진 상태에서 안 지우고 노출 정보를 또 들여왔기 때문)
3) 해결 방법: 포토샵에서 exr파일을 jpg파일로 바꾸면 돔라이트가 Ambient Light 역할만 함(직접 조명이 만들어지지 않음)

 


다음 포스팅에서는 v-ray를 활용한 Material 제작에 대하여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