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Ray] 2Sided Material로 한지/얇은 천 느낌의 라이트 만들기
반응형
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얇은 한지나 천처럼 빛이 은은하게 투과되는 재질을 V-Ray에서 구현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특히 V-Ray 2 Sided Material과 Translucency 설정을 통해, 종이 등 같은 조명을 연출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한지 재질을 위한 모델링 구성
2] V-Ray 2Sided Material이란?
3] Translucency 속성 설정
4] 조명 배치 및 최종 세팅
5] 정리
1] 한지 재질을 위한 모델링 구성
- Cube 하나 생성 (한지등 겉 껍데기 역할)
- 안쪽에 Sphere Light 배치 (은은한 내부 광원 표현용)
- 두 오브젝트 모두 Scale → Freeze Transformations 수행
→ 올바른 SSS 및 Translucency 작동을 위해 꼭 필요
✔️ Cube는 두께 없이 얇은 셸처럼 사용하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2] V-Ray 2Sided Material이란?
V-Ray 2Sided Mtl은 얇은 재질의 앞면과 뒷면에 다른 재질을 적용할 수 있는 특수 셰이더입니다. 카드, 전단지, 종이처럼 노멀 방향에 따라 재질 표현이 다르게 보이는 얇은 물체에 적합합니다.
- Front Material: 앞면 기준 재질
- Back Material: 생략 가능 (기본은 투명한 느낌)
- Translucency Tex: 빛 투과 정도 설정
3] Translucency 속성 설정
이 속성은 얼마나 빛이 재질을 통과할 수 있는지를 결정합니다.
완전 검정 = 빛 차단
완전 흰색 = 완전 투과 (종이나 천처럼 표현 가능)
AlSurface Material의 Directional SSS와 비슷한 개념입니다.
설정 예시:
- 하이퍼쉐이드에서 V-Ray 2Sided Material 생성
- Front Material 슬롯에 V-Ray Mtl 연결
- V-Ray Mtl의 Diffuse Color = 연한 파란색
- 2 Sided Mtl의 Translucency Tex = 회색 or 흰색 텍스처 (혹은 컬러)
✔️ 빛의 양과 느낌을 조절하려면 Translucency 값을 조절하시기 바랍니다.
4] 조명 배치 및 최종 세팅
- 내부 조명은 V-Ray Sphere Light 추천
- 크기 조절 후 Cube 안에 배치
- 조도(intensity) 조절 시 주의: 과하면 터지고, 부족하면 표현이 안 됨
- 라이트의 Invisible 체크는 해제하여 안쪽 빛이 직접적으로 보이도록 설정
- 렌더러는 V-Ray, GI는 On으로 설정
Cube에 2 Sided Material이 적용되어 있어야 내부 조명이 자연스럽게 퍼져 나옵니다.
5] 정리
- V-Ray 2Sided Material은 얇은 종이/천 같은 재질 표현에 적합
- Translucency는 빛 투과율을 조절하는 핵심 속성
- 내부에 Sphere Light를 배치하여 한지등 효과 구현
- Front Material로 색감을 설정하고, Translucency로 투광 느낌 연출
- 실험적으로 색 보정 텍스처나 Bump Map을 추가해 질감을 더할 수도 있음
다음 글에서는 사람 캐릭터 눈알 머테리얼 설정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Maya > Basic & Rende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ya] 카메라에 관한 공부 – Focal Length, Physical Camera, 클리핑 거리 등 핵심 정리 (0) | 2025.06.01 |
---|---|
[Maya] 사람 캐릭터 눈알 머테리얼 구성법 – VRay로 리얼한 Eye 표현하기 (1) | 2025.05.27 |
[Maya] ALsurfaceMaterial에서 사람 피부 표현 마무리 – Reflection과 Bump 맵 적용법 (0) | 2025.05.27 |
[Maya] SSS Map 만드는 방법 – Photoshop 보정부터 Hypershade 노드 활용까지 (0) | 2025.05.27 |
[V-Ray] ALsurfaceMaterial로 사람 피부 표현하는 고급 작업 정리 (0) | 2025.05.27 |
댓글